안녕하세요, 에코 뉴스레터 구독자님들. 2024년이 이제 서서히 저물어가고 있습니다. 이번 뉴스레터에서는 한 해를 마무리하며 정리한 몇 가지 서비스 구독 취소 이야기를 비롯해, AI를 도입하여 생산성이 폭발적으로 성장했던 2024년에 만들어낸 방대한 콘텐츠를 돌아보고자 합니다. 개인적으로도 연말은 항상 지나간 시간을 회고하며 “내년에는 더 잘해보자”라는 다짐이 교차하는 시기인데요. 구독자 여러분께서도 한 해를
안녕하세요. 에코 뉴스레터 구독자님들, 12일간 이어진 OpenAI의 혁신을 발표하는 발표가 드디어 오늘 12일차를 마지막으로 대단원의 막을 내렸습니다. 이번 마지막 발표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어떤 내용을 이야기할까? 기대했는데 이번에 발표한 내용은 차세대 모델 "O3"와 "O3 Mini"가 공식 소개되며, O1에서 출발한 진화적 행보가 새로운 차원으로 도약한 모습입니다.
안녕하세요, 보표입니다. OpenAI에서 연이은 소식들을 발표하고 있는 가운데 오늘은 10번째 날이였습니다. 이번 오픈AI 발표에서는 ‘접근성(Accessibility)’이라는 키워드에 집중한 모습이며 이 발표에 많은 사람들의 의견이 엇갈렸습니다. 오늘 아티클에서는 어떤 부분을 업데이트했는지 그리고 사람들의 의견은 왜 엇갈리는지에 대해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지금까지 우리는 웹, 앱을 통해 OpenAI의 GPT를 활용했습니다. 그런데 이제는 한
안녕하세요, 에코 뉴스레터 구독자님들 이번에 전해드릴 소식은 OpenAI에서 오늘 (12.13.2024) 새롭게 선보인 "프로젝트(Project)" 기능과 대화 검색(Conversation Search) 기능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지난번 O1 Pro 모드에 이어, 이번에는 대화 정리와 워크플로우 개선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오늘 발표를 보면서 특히 이 기능은 혁신이라고 할수는 없지만 일반적인
에코 뉴스레터 구독자님들 이번에 AI 코리아 커뮤니티는 SKT 나만의 AI개인비서 에이닷(A.) PC, 모바일 서비스 활용 사례를 바탕으로 한 "에이닷 찐후기 대전" 공모전을 개최합니다. 다양한 회원 분들께서 실제로 에이닷을 어떻게 사용하시는지, 혹은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를 공유함으로써 좀 더 창의적이며 다채롭게 활용할 수 있는 방법에
안녕하세요. 에코 뉴스레터 구독자 여러분 최근 인공지능(AI) 기반의 검색 서비스 시장은 글로벌 플랫폼을 중심으로 급격히 재편되고 있습니다. 무너지지 않을 것 같던 기존 검색엔진들도 마음만 놓고 있을 수는 없는 상황입니다. 챗GPT(SearchGPT), 퍼플렉시티(Perplexity) 등 이미 우리가 알고 있는 서비스들이 실시간 웹 검색 능력, 신뢰할 수 있는 출처 제공, 그리고
안녕하세요. 에코 뉴스레터 구독자님들 이번에 전해드릴 소식은 생성형 AI 분야의 새로운 패러다임, 바로 O1 Pro 모드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최근 OpenAI에서 내놓은 이 기능은 기존 GPT-4O 대비 한 단계 더 진화한 활용도를 보여주며, 특히 이커머스 분야와 여러 분야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이번 글을 통해 우리는 O1 Pro 모드를
안녕하세요. 에코 뉴스레터 구독자님들 잘 지내시고 계신가요? AI 시대에 저는 이커머스 업계에 종사하는 사람으로서 항상 어떻게 AI가 이커머스의 쇼핑 경험을 전반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을지에 대해서 생각하고 있습니다. 관련해서 이번에 전해드릴 소식은 아마존이 새롭게 선보인 차세대 AI 기초 모델 '아마존 노바(Amazon Nova)'입니다. 세계 최대의 이커머스 플랫폼은 아마존은
안녕하세요. 에코 멤버님들 이번에 전해드릴 소식은 클로드의 새로운 업데이트 입니다. 여러분은 AI와 대화할 때 어떤 말투를 선호하시나요? 클로드와의 대화, 이제 나만의 스타일로 혹시 여러분도 AI 챗봇과 대화하면서 '좀 더 스타일을 지정해서 대화할 수 없을까?' 하고 생각해보신 적 있으신가요? 개인화된 대화의 시작 클로드가 드디어 사용자 맞춤형 스타일 기능을 선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에코 멤버님들 AI 시대를 잘 보내고 계신가요? 저는 2023년 1월 말, 처음으로 ChatGPT를 접했을 때의 충격을 아직도 생생히 기억합니다. 그 당시에는 단순히 질문에 답하는 것만으로도 놀라웠고, 이미지를 생성해주는 기능은 정말 혁신적으로 느껴졌습니다. 아마 저와 비슷한 경험을 하신 분들도 많으실 거라 생각됩니다. 그로부터 시간이 많이 지나, 어느덧 2024년 11월 말이
안녕하세요. 에코 뉴스레터 구독자님들 저는 얼마전 스페인 말라가로 출장을 다녀왔는데요. AI 컨퍼런스에 참여했었습니다. 해외에서 많은 사람들과 대화를 하면서 그들은 AI를 어떤식으로 활용하는지에 대해서 많이 느끼고 배웠습니다. CHAT GPT, CLAUDE 등을 참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하는 모습을 보며 저희 에코 멤버님들이 생각났습니다. 이런 활용 사례들을 좀 더 많이 공유해보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고
안녕하세요. 에코 뉴스레터 구독자 여러분 얼마전 OpenAI의 샘 알트만이 Y Combinator에서 "How To Build The Future"라는 주제로 특별한 인터뷰에 출연했습니다. 이번 인터뷰를 보며 제가 느낀것을 여러분들에게 공유해보고자 합니다. 기술을 빨리 받아들임으로써 폭발적 성장을 짧은 기간에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 함정에 빠지지 말기를 바랍니다. 지속적인 가치를 만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