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달 2회 이상!
내 손안에 🤳쏙! 들어오는 AI 소식!

챗GPT, 미드저니 생성형 AI 소식을 대중들에게 쉽고 똑소리 나게 전달하는 마음 따듯한 사람들이 만드는 AI 전문 뉴스레터!

AI 코리아 커뮤니티 뉴스레터
Cinnamomo di Moscata
Members Public

AI도 인간!

지름길은 없어 지능의 본질을 두고 AI 학계의 오랜 논쟁이 있었어요. 인간처럼 세상을 이해하고 예측하는 '세계 모델(World Model)'을 내부에 구축해야 하는지, 혹은 모델 없이 오직 행동과 보상의 경험만으로도 지능에 도달할 수 있는지. AGI을 향한 두 개의 경로, 즉 '모델 기반'과 '모델 프리'

Bopyo Park
Members Public

Genspark AI 브라우저, 웹 서핑의 게임 체인저가 될까?

안녕하세요. 에코 뉴스레터 구독자님들. 벌써 한주가 다가왔습니다. 요즘 정말 AI 관련 업데이트 소식들이 쏟아집니다. 얼마전 OpenAI에서 O3-Pro에 대한 소식이 있었는데요. 현재 프로 유저들에게는 제공이 되었지만 아직 플러스 유저들에게는 제공 되지 않아서 기다리시는 분들이 많은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프로 독점인듯하지만 언젠가 플러스 유저들에게도 풀릴것으로 기대해봅니다) 기다리시면서 새로운 소식 접해보실 수 있도록 전해드립니다.

부루퉁의AI
Members Public

블로그 글쓰기, 이 프롬프트로 종결!

안녕하세요! 부루퉁입니다. 오늘은 블로그 글쓰기 프롬프트를 소개해드리려고합니다. 실제로 제가 네이버 블로그 운영 시 활용하고 있는 프롬프트입니다. 글을 쓰는 데 막막함을 느끼는 분들, 혹은 구조화된 글쓰기를 원했던 분들께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프롬프트를 입력할 땐 목적을 먼저 프롬프트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목적을 서두에 명확하게 입력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공복 다이어트 방법을

Cinnamomo di Moscata
Members Public

여름 휴가와 함께

자기 개발! AI 모델을 추가 학습시키는 것은 기존 지식을 증폭할까요, 아니면 새로운 능력을 창출할까요? AI의 근본적 잠재력을 가늠하는 핵심 질문이에요. 최근 고성능 추론 모델의 핵심 기술로 강화학습(Reinforcement Learning)이 주목받고 있지만, 그 역할에 대한 논쟁은 계속되어 왔어요. NVIDIA 연구진이 발표한 'ProRL' 논문은 이 논쟁에 대한 명확하고 객관적인

Sai
Members Public

AI가 바꾸는 인구 조사의 미래: 설문조사부터 위성사진까지

안녕하세요, AI코리아 뉴스레터 독자 여러분! Sai 김진환입니다. 최근 대선이 치뤄졌고, 저는 통계를 전공하다보니 자연스레 출구조사와 본투표결과의 일치에 관심을 두고 있었는데, 약간 오차가 나지만 거의 흐름을 맞추는 통계의 대단함과 약간의 차이를 보정하는 부분에 대한 생각을 하다보니 이번 뉴스레터 내용을 집필하게 되었는데요. 오늘은 우리 일상과 밀접한 '인구 데이터'가 AI로

Bopyo Park
Members Public

오픈AI ChatGPT 핵심 업데이트 (커넥터, 녹화 모드)로 업무 효율 극대화!

안녕하세요. 에코 멤버님들 오픈 AI가 오늘 6월 4일 오후 1:00(EST) 시간에 라이브를 했습니다. 20분정도 되는 분량의 라이브였는데 여기에서 발표한 내용들을 빠르게 정리해봤습니다. 여러분의 시간은 소중하니까 말이죠. 이 글만 바로 보셔도 바로 어떤 업데이트가 되었고, 나의 업무에 적용이 가능한지 가늠하실 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바로 시작합니다. 1. 사내 지식과 연결하는

부루퉁의AI
Members Public

ChatGPT 뉴스·기사 요약 프롬프트 활용법

안녕하세요! 부루퉁입니다. 정보가 넘쳐나는 요즘, 매일같이 쏟아지는 뉴스, 기사나 긴 보고서를 단 몇 줄로 핵심만 쏙쏙 뽑아보고 싶다는 생각, 다들 한 번쯤 해보셨을 텐데요. 그래서 오늘은 바로 이런 고민을 시원하게 해결해 드릴 수 있는 ChatGPT 뉴스 요약 프롬프트를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이 프롬프트는 제가 직접 만들고 일상에서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는데요.

Cinnamomo di Moscata
Members Public

닌자처럼!

AI는 어린아이! 인공지능의 미래 교육 방식을 재조명하는 연구가 주목받고 있어요. 최근 뉴욕대학교(New York University) 연구팀이 ‘유치원 커리큘럼 학습’을 제시했는데, 기존 AI는 막대한 데이터를 한꺼번에 학습하는 반면, 이 방식은 아이들이 기초부터 차근차근 배워나가는 과정을 모방한다고 해요. 단순한 과제부터 시작해 점차 복잡한 문제로 이어지는 이 방법은 AI가 각 단계에서 필수

Sai
Members Public

자연어로 데이터와 대화하는 시대: Text-to-SQL과 AI 데이터 분석의 현재

안녕하세요, AI코리아 뉴스레터 독자 여러분! Sai 김진환입니다. 오늘은 최근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자연어 기반 데이터 분석 기술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지난달 매출이 얼마야?" 라고 물으면 AI가 알아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해 답해주는 시대, 정말 와 있을까요? -> 네, 이미 현실이 되고 있습니다. 1) 더 이상 SQL을 몰라도 되는

Bopyo Park
Members Public

AI 펜던트 언박싱! 우리 삶을 개선해줄까?

안녕하세요. 에코 뉴스레터 구독자님들 하루가 멀다 하고 AI 관련 업데이트 소식들이 SNS에서 쏟아집니다. 업데이트 내용들을 보고 있다 보면 이제는 따라갈 수 있는 수준을 넘어 선택과 집중을 해야 하는 시기입니다. 그렇지 않으면 쏟아지는 툴들 때문에 찍먹만 하다가 하루가 끝나버리기 때문입니다. 한편 AI 디바이스 쪽은 어떨까요? 이쪽은 솔직히 말해서 아직 사용해 본

Cinnamomo di Moscata
Members Public

구글이 OpenAI를 이길 수 있다고?!

더욱 더 프로 구글 딥마인드(Google DeepMind)가 이번에 선보인 최첨단 비디오 생성 모델 '비오 3(Veo) 3'를 선보였어요. 이전 모델인 '비오 2(Veo 2)'도 뛰어났지만, 영화 제작자와 스토리텔러를 위해 여러 새로운 요소들이 존재해요. 4K 해상도 출력, 현실적인 물리 법칙, 그리고 음향(음향 효과,

Sai
Members Public

생성형 AI를 활용한 바이브코딩 입문자들을 위한 간단한 실행기

안녕하세요 AI코리아 뉴스레터 집필진 김진환입니다. 오늘은 요즘 핫하기도 핫한 바이브코딩을 주제로 가져왔는데요. 어떻게 바이브코딩을 할수 있고, 입문자들 관점에서 어떻게 할까? 에 대한 고민과 궁금증을 기반으로 제가 했던 내용들을 한번 공유해드리려고 합니다. 1) 고객의 니즈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는 방법론 - 바이브코딩 바이브코딩은 AI 기반 코드 생성기를 활용해 자연어로 설명하면 인공지능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