뤼튼 플로그인
뤼튼 플로그인

한국형 뤼튼 plugins 출시 임박

배가

뤼튼 plugins VS ChatGPT plugins

plugins에 대한 기대를 가져보자

배가 logo
배가 logo

안녕하세요 배가 입니다.

2번째 포스팅으로 앞선 포스팅에 연장선으로 다른 툴을 다뤄보려고 하였습니다. 그러나 그전에 plugins에 대해 알려드리는게 좋을 듯 하여 이번 포스팅은 뤼튼에서 출시를 앞둔 뤼튼 plugins에 대해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다들 아시겠지만 ChatGPT에서 plugins을 만들었습니다. 얼마 전 보표 대표님께서 plugins을 정리하여 에코 멤버분들에게 무료로 배포를 해주셨습니다. 정말 다양한 plugins들이 존재 하는걸 확인 할 수 있었습니다.

아직도 못 받아보신 분은 아래 링크를 통해 다운 받아서 사용해 보시면 되겠습니다.

https://app.aikoreacommunity.com/spaces/11387749/page

Chatgpt 플로그인 모음
Chatgpt 플로그인 모음

그런데 전 조금 아쉬웠습니다. ChatGPT plugin은 어찌보면 우리나라 사람들이 사용하기에 유용할지에 대한 의문이 좀 들었습니다.

물론 잘 활용하면 여러가지 부분에 유용하게 사용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영미권을 대상으로 만들어진 부분이 강하기 때문에 우리나라 사람들이 사용하기에는 다소 불편한 부분이 있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뤼튼에서 오픈 하려고 준비 중인 plugins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많은 분들이 이미 알고 있으실 거라 생각하지만 모르시는 분들도 있으실 거라 생각하고 이 plugins을 통해 어떤 방법으로 활용을 해보면 좋을지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뤼튼 plugins는 2023년 상반기 출시를 예정으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뤼튼에서 주요 plugins로 알려주고 있는 것은 크게 3가지 입니다.

1.메일(gmail, 구글 갤린더)

뤼튼 plugins 메일
뤼튼 plugins 메일

2.논문 및 구인 구직

뤼튼 논문 및 구인 구직
뤼튼 논문 및 구인 구직

3.여행 플래너

뤼튼 여행 플래너
뤼튼 여행 플래너

다음 3가지 기능을 주요 plugins로 설명 하고 있습니다. 위에 기능들을 보면 우리가 현실 생활에서 필요한 부분을 중점적으로 개발을 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우리나라 데이터를 기반으로 보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사용하기 편하게 제공을 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그 외에도 여러가지 기능들을 협력 업체들과 개발을 진행 중에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뤼튼 plugins 서비스들
뤼튼 plugins 서비스들

뤼튼은 앞 포스팅에서 언급 한것처럼 ChatGPT 기반으로 서비스를 하는 곳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ChatGPT에서 자유로울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많은 커스터마이징과 ChatGPT의 업그레이드된 기능들을 이용하여 우리나라에 맞는 최적화를 이룰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초반 AI 기술을 이용한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는 사이트들이 우후죽순 생겨 났었습니다. 그러나 불과 몇 달이 지나지 않았지만 실제적으로 활용을 하고 있는 곳은 극히 일부처럼 보입니다. 원조인 ChatGPT에 밀려서 사라지고, 미드저니와 Stable diffusion에 밀려 사라지고, 그런 상황속에서 뤼튼은 한국형 AI를 위해 계속 발전해 가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앞으로 어떠한 기능들이 추가로 나올지 모르지만 뤼튼의 향후 행보를 지켜보시면 좋을듯 합니다.

마지막으로 서비스 대기자 명단을 등록 할 수 있는 링크를 남겨 드리겠습니다.

저도 등록은 해 놓았으나 순위가 많이 뒤에 있습니다. 그만큼 관심도 많이 있다고 보여집니다.

귀찮은 일 다 해주는 AI 비서
대기자로 등록하고 무료로 사용해보세요

위 버튼을 클릭하여 대기 리스트에 등록 하시면 됩니다.

(위 링크로 등록 시 저에 순위가 100등 올라간다고 하지만 너무 뒤에 있어서 크게 영향은 없을듯합니다.)

저도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시점이 되면 좀 더 자세히 다뤄보고 기능들을 포스팅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정보의 바다를 방황하는 배가
정보가 넘처 나는 시대 필요한 양질의 정보를 제공하고 같이 정보의 바다를 유랑하면 좋겠습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