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찍 일어나는 새!
early bird

일찍 일어나는 새!

Cinnamomo di Moscata

딥시크의 또다른 비밀

딥시크(DeepSeek)가 핵심 노하우 대부분을 공개했지만, 여전히 밝혀지지 않은 부분도 있어요. 그래서, 바이트댄스(ByteDance)는 딥시크가 공개하지 않은 부분을 찾아내서 LLM의 추론 능력을 향상시키는 새로운 RL 알고리즘, DAPO(Decoupled Clip and Dynamic Sampling Policy Optimisation)를 공개했어요. 이 접근법은 기존의 그룹 상대 정책 최적화(GRPO)를 개선해, LLM이 메타인지와 유사하게 자기 검증과 반복적 개선을 더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고 해요.

DAPO를 쓰면 기존 LLM의 '모범생' 흉내를 낮춰서 인간처럼 다양성을 증진시키고, 효율적인 데이터 학습을 통해 학습 속도를 높인다고 해요. 더 나아가, 긴 추론 과정을 효과적으로 지원하며 정보 손실을 방지하는 동적 페널티 조정 방식도 채택했어요.

이 기술은 이미 추론 능력 벤치마크에서 우수한 성과를 기록하며, 커뮤니티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고, AI 기술의 투명성과 협업을 장려하는 오픈소스 발전은 AI 연구를 더욱 활기차게 만들고 있어요.

짧고 굵게

최근 텍사스(Texas; TX)의 알파 스쿨(Alpha School)이 AI 튜터를 도입해서 학생들의 학업 성취를 놀라운 수준으로 끌어올렸다고 해요. 그 방법이란, 하루 2시간 동안 AI 튜터와 함께 학습하고, 나머지 시간에는 팀워크, 재정 관리, 발표 기술 등 학교에서는 배울 수 없지만 생활에 유용한 능력을 배양하는 독특한 프로그램이라네요. 그 덕에 학생들은 매일 2시간만 공부하는데도 더욱 빠르고 효율적으로 학습하고, 최상위권 대학도 노릴 수 있을 정도로 전미 상위 2%의 학업 성적을 자랑하게 되었어요.

이렇듯 AI 기반 학습은 학생들에게 맞춤형 교육을 제공하고, 교사에게는 정서적 지원 및 동기 부여에 집중할 수 있는 기회를 열어줘요. 결과적으로 학습과정의 효율성을 높이면서 교사의 역할을 단순히 교과서로 강의만 하는 것이 아니라 인생의 멘토로 강화하는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어요.

AI 기술의 발전이 교육의 틀을 어떻게 바꾸어 놓을지, 앞으로의 변화가 주목되네요.

창의적인 바이브

OpenAI 창립 팀 멤버였던 안드레이 카파시(Andrej Karpathy)가 최근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놀라운 소식을 전했어요. 바로 ChatGPT의 도움을 받아 바이브 코딩으로 단 한 시간 만에 iOS 앱을 개발하고 실제 아이폰에서 실행하는 데 성공했거든요.

카파시는 스위프트(Swift) 언어를 처음 접했음에도 불구하고, ChatGPT와의 대화창을 열고 지시에 따라 앱 개발 과정을 순조롭게 진행했다고 밝혔어요. 그는 마치 "손을 잡고 안내받는 느낌"이었다며 개발 과정이 매우 쉬웠다고 강조했는데, 실제로 공개된 ChatGPT 대화 내용을 살펴보면 앱의 기본 구조 설정부터 기능 추가, 데이터 저장, 배포까지 전 과정에 걸쳐 ChatGPT의 상세한 안내가 있었어요.

과거에는 숙련된 개발자만이 감당할 수 있었던 앱 개발 영역에서, 이제는 AI의 도움을 받아 비전문가도 쉽게 접근하는 것을 넘어, 단지 AI한테 물어보고 복사와 붙여넣기 만으로 실제 구동하는 앱을 만드는 것은 대단한 일이에요. 특히 카파시처럼 AI 전문가조차 "너무 쉬웠다"고 평가할 정도이니, ChatGPT와 같은 AI 코딩 도우미의 잠재력은 실로 무서울 정도에요.

카파시의 사례는 분명 시사하는 바가 커요. AI가 반복적이고 기술적인 코딩 작업을 대신해주면서, 개발자들은 더욱 창의적인 아이디어 구상에 집중하는 직업으로 바뀔거에요. 카파시는 개발 과정에서 발생한 다양한 시행착오와 개선 과정을 투명하게 공유하며, AI를 활용한 앱 개발의 가능성을 적극적으로 탐색하고 있고, 앞으로 ChatGPT를 Xcode나 Cursor와 같은 개발 도구에 직접 연결하여 더욱 심도 있는 개발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어요.

안돼 안돼 돌아가

이번 주 25일, 캘리포니아 연방법원(California federal judge)은 앤트로픽 AI(Anthropic AI)의 손을 들어주며, 음악 출판사들이 제기한 가처분 신청을 기각했어요. 해당 사건은 앤트로픽이 유니버셜 뮤직 그룹(Universal Music Group)과 기타 출판사의 가사를 인공지능 모델 훈련에 무단 사용했다는 주장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었거든요. 법원은 출판사들이 가사의 무단 사용으로 인해 '회복 불가능한 피해'를 입었다는 점을 충분히 입증하지 못했다고 판단했어요.

원래 이 사건은 인공지능 시대에 저작권의 경계가 어디까지인지 묻는 중요한 사례로 주목받고 있었어요. 기술 기업들은 저작권이 있는 콘텐츠를 학습하며 새로운 창작물을 만드는 것이 미국 저작권법상 '공정 이용'에 해당한다고 주장했지만, 출판사와 아티스트들은 이로 인해 창작물의 가치가 떨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거든요.

앞으로 법적 논의는 '공정 이용'의 범위와 AI 개발에서의 저작권 보호라는 두 축을 중심으로 이루어질 전망이에요. 기술 혁신과 창작물 보호 사이에서 균형을 맞추는 것이 모두가 납득할 수 있는 해답을 찾는 열쇠가 되겠죠?

불 난 곳에 기름

앤트로픽의 음악 저작권 소송으로 한창 시끄러운 와중에, 엎친데 덮친격으로 미국 행정부의 AI 액션플랜 의견 수렴 과정에서 구글, 오픈AI와 같은 기업들은 저작권법을 완화하고, AI 모델 훈련에 필요한 데이터 접근을 허용할 것을 제안했어요.

이 요구는 공공의 이익을 강조하며, AI 성능의 고도화를 위해 창작자 저작물을 학습 데이터로 활용하는 것을 정당화하려는 의도이거든요. 반면 헐리우드 창작자와 영상업계 관계자들은 법적 판결에서 마냥 유리한 처지가 아님에도 기존 저작권법을 유지해야 한다는 강력한 입장을 밝히며 창작자의 권리를 보호하려고 시도했어요.

저작권 논쟁의 핵심은 AI가 창작물과 유사한 결과물을 생성하면서 발생하는 법적 분쟁이에요. 미국 법원은 AI 학습을 위한 정보 수집이 저작권법에서 예외로 인정되지 않는다고 판결했었는데, 여기에 기반해서 끊임없는 갈등이 이어지고 있고요. 과연 이 늪지대의 결말은 어떻게 될까요?

세상을 몰라서

다른 한편, 포켓몬 플레이를 스트리밍하면서 성능을 입증했던 클로드 3.7소넷(Claude 3.7 Sonnet)은 앤트로픽의 이전 모델에 비해 전략적 사고와 목표 적응력에서 상당한 진전을 보였엉. 그러나 게임 전체를 성공적으로 완료하는 데에는 여전히 많은 어려움이 존재했는데, 구체적인 난관이 밝혀졌어요.

NPC와 계속 대화를 진행하면서 다른 곳으로 움직이지 않거나, 이미 방문했던 장소를 무의미하게 계속 방문하는 등의 수많은 오류가 있었고, 이렇게 된 원인으로는 화면의 저화질 그래픽을 해석하거나, 게임 지도에서 효율적으로 움직이는 데 있어 인간만큼의 능력을 발휘하지 못한다는 것이 주 원인으로 손꼽히고 있어요.

왜냐하면, 인간은 아기 때부터 움직이면서 다양한 경험을 접하며 세상을 이해하지만, AI는 아직 그런 부분에서 부족하기 때문이거든요. 진정한 인간 수준의 '일반 인공지능'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AI가 자기 성찰, 장기 기억 관리, 효과적인 메타 전략 실행 등의 능력을 갖춰야 하고요.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엿한 초보자 수준의 게이머까지 올라왔고, 앞으로 AI가 어느 정도로 똑똑해질지 기대되네요.

클로드가 온갖 엉뚱한 선택에도 불구하고 포켓몬을 초보자 수준까지 클리어하자 환호하는 시청자들

1인 영상 개척시대

GPT4o에 이미지 생성 기능이 업데이트 되면서, 벌써부터 수많은 실험을 시도하는 아티스트 들이 늘어나고 있어요. 야키맛(Yachimat)이라고 불리는 한 트위터 유저는, GPT-4o에서 이미지를 다양한 앵글로 장면을 제작하고, 이 이미지들을 Ray2와 Vidu 등으로 생성한 뒤 X에 영상과 후기를 올렸어요.

특히, 애니메이션 제작 과정에서의 반복적이고 어려운 작업들을 간소화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는데, 아직은 부족한 부분이 곳곳에 띄지만, 준프로급 품질로 혼자서 이 정도 수준을 만든 점은 확실히 놀라운 수준이네요.

샘 알트만의 은둔

OpenAI는 최근 경영진 구조를 개편했는데, 그동안 이곳저곳 얼굴을 비치면서 인플루언서가 된 CEO인 샘 알트만(Sam Altman)은 앞으로 자신이 개발 파트에 더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어요. 그 결과, COO인 브래드 라이트캡(Brad Lightcap)은 조직 운영 전반, 국제 확장 및 MS와 애플(Apple) 같은 주요 기술 기업과의 파트너십 관리 등 얼굴 마담을 담당하게 되었고요.

또한 연구 및 인사 부문에서도 승진자가 생겼는데, 마크 첸(Mark Chen)은 최고 연구 책임자로, 줄리아 빌라그라(Julia Villagra)는 최고 인사 책임자로 임명되었어요. 이번 변화는 OpenAI의 초기 비영리 조직에서 수익성을 추구하는 기업으로의 전환과 맞물려 있고, 결정적으로 경쟁자들이 너무 빨리 좋은 AI를 내놔서 샘 알트만이 개발에 집중해야 할 정도로 경쟁이 치열해졌기 때문이라네요.

움직이면 꿀단지를

2025년은 AI의 명암을 극명히 드러낸 변혁의 해. 퍼플렉시티 AI(Perplexity AI)의 CEO 아라빈드 스리니바스(Aravind Srivanis)가 단기적으로 대규모 해고를 피할 수 없다고 말했듯이, 기회와 위협 공존 속에 적응만이 생존을 좌우하고 있어요.

AI는 단순 트렌드를 넘어 사회 패러다임 자체를 바꾸기 시작했으며, 딥시크 알고리즘부터 GPT-4o로 만든 준프로급 애니메이션까지, 발전 속도는 상상을 초월해요. 저작권 분쟁과 AI의 한계 등 과제도 많지만, AI는 이미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 되었어요. 이제 이분법적 시각을 넘어, AI와 인간의 시너지를 모색하고, 에코 멤버님들만의 빛과 그림자를 모두 꿰뚫는 지혜로 미래를 설계해야 할 때에요.


도구를 넘어서
알리바바 바벨부터 AI 과학자, 샘 알트만의 통찰까지—영어 몰라도 누리는 AI 혁신! 다언어 시대를 여는 최신 AI 소식 총정리

Cinnamomo di Moscata (글쓴이) 소개

게임 기획자입니다. https://www.instagram.com/cinnamomo_di_moscata/


(1) arXiv:2503.14476 [cs.LG]

(2) 박찬. (2025). 바이트댄스, 딥시크도 감춘 추론 '강화학습법' 오픈 소스 공개. AI타임스. https://www.ai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168989

(3) Nikolas Lanum. (2025). Texas private school’s use of new ‘AI tutor’ rockets student test scores to top 2% in the country. FOX News. https://www.foxnews.com/media/texas-private-schools-use-ai-tutor-rockets-student-test-scores-top-2-country

(4) Andrej Karpathy. (2025). "I just vibe coded a whole iOS app in Swift (without having programmed in Swift before, though I learned some in the process) and now ~1 hour later it's actually running on my physical phone. It was so ez... I had my hand held through the entire process. Very cool.". X. https://x.com/karpathy/status/1903671737780498883

(5) Blake Brittain. (2025). Anthropic wins early round in music publishers' AI copyright case. Reuters. https://www.reuters.com/legal/anthropic-wins-early-round-music-publishers-ai-copyright-case-2025-03-26/

(6) 김서현. (2025). "AI가 저작권물 생성하는 건 공정사용인가" 美, AI 저작권 논란 격화. 메트로신문. https://metroseoul.co.kr/article/20250324500660

(7) Kyle Orland. (2025). Why Anthropic’s Claude still hasn’t beaten Pokémon. Ars Technica. https://arstechnica.com/ai/2025/03/why-anthropics-claude-still-hasnt-beaten-pokemon/

(8) Yachimat. (2025). "存在しない架空のアニメの1シーン 「AIの時代が良い時代とは、私は思わない」 GPT4oで向きを変えながらシーンををつくりました。 車の中で右左後ろとアングルを変えるのって今まで本当にしんどかったんですが(しかも複数人)、GPT4o でできるようになりました。 https://t.co/GHxyznRd8Y". X. https://x.com/yachimat_manga/status/1904848896180043842

(9) Kylie Robison. (2025). OpenAI reshuffles leadership as Sam Altman pivots to technical focus. The Verge. https://www.theverge.com/openai/634802/openai-leadership-change

(10) 조이환. (2025). '챗GPT' 아버지 알트먼, 경영서 한발 물러난다…이유는?. ZDNet Korea. https://zdnet.co.kr/view/?no=20250325083235

(11) Shivani Tiwari. (2025). AI Shakeup, Layoffs & India's Billion-Dollar Bet: What Aravind Srinivas Thinks of Tech's Future. Entrepreneur India. https://www.entrepreneur.com/en-in/news-and-trends/ai-shakeup-layoffs-indias-billion-dollar-bet-what/488962


트렌드 도구👀

  • Fyxer ai > 골치아픈 이메일 인박스는 이제 안녕! 똑똑한 AI 이메일 비서
  • Readdy > 한국어 채팅도 가능한 AI 홈페이지 제작 서비스.
  • Felo.ai > 논문 찾기와 에이전트 검색에 특화된 에이전트 비서.
  • Heygen > 나만의 커스텀 AI 아바타 만들기의 선두주자.
  • Mixo > AI로 웹사이트 손쉽게 만들기.
  • MAKE > AI 자동화 워크 플로우.
  • Teamsaver.ai > 이메일을 통해 매일 팀 업데이트를 수집하는 AI 에이전트.
  • Skyvern 2.0 > 일반 영어로 AI 브라우저 에이전트를 구축합니다.
  • AI Dialog 1.0 재생 > 매우 감성적인 AI 텍스트 음성 변환 모델입니다.
  • Gamma 프레젠테이션, 웹페이지, 문서뿐만 아니라 소셜 미디어 형식까지 손쉽게 AI로 제작 (최근 업데이트)
  • 1legion 절반 가격으로 누리는 고성능 클라우드 컴퓨팅

*Affiliate links and regular links may be included.


뉴스레터 광고 공간 (광고주를 모집합니다)

For newsletter banner advertising inquiries, please contact: Bopyo@aikoreacommunity.com

이곳에 서비스를 소개하세요!

뉴스레터 배너 광고 문의: Bopyo@aikoreacommunity.com


뉴스레터 편집장 소개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