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간을 넘어서
인간이 AI고 AI가 인간이고
최근 연구에 따르면, ChatGPT같은 LLM은 고전적인 튜링 테스트(Turing Test)를 통과하며 인간 수준의 대화를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 재확인 되었어요. 특히, 감정적으로 인간의 감성을 충족할 정도로 EQ가 똑똑해진 GPT-4.5 모델은 인간과의 대화에서 73%의 확률로 인간으로 판단되었는데, 실제 인간보다도 더 높은 확률이라고 해요.
튜링 테스트는 천재 수학자이자 컴퓨터의 아버지로 알려진 앨런 튜링(Alan Turing)이 컴퓨터가 인간처럼 사고할 수 있는지 판단하기 위해 제안된 기준이에요. 하지만 이번 결과는 단순히 기술적 성과를 넘어서, 인간과 기계 사이의 경계가 흐려지는 모습을 보여준다네요.
블랙박스 개봉
그동안 LLM의 작동 방식은 알기가 워낙 어려워서 블랙박스와도 같다고 비유되었어요. 하지만 지난 3월 27일, 앤트로픽 AI(Anthropic AI)의 연구진은 "AI 현미경"이라는 새로운 접근법을 통해 언어 모델의 내부 메커니즘을 밝혀내는데 성공했어요. 이를 통해 AI가 단순히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하는 것을 넘어, 독창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사고하는 방식을 연구했는데, 결과가 흥미로웠어요.
이 연구는 어떤 클로드 버전인지 명시되지는 않았지만, 클로드(Claude)의 사례를 통해 AI가 다언어적 사고, 계획적인 시 작문, 그리고 내부 연산 과정을 어떻게 처리하는지를 분석했어요. 예를 들어, 클로드는 다국어 텍스트를 처리할 때 apple=사과=リンゴ=pomme=sib=🍎 와 같이 언어적으로 공통되는 개념을 사용하고, 시를 작성할 때는 미래의 문장을 미리 계획하고 작성하는 전략을 취했어요.
특히, AI가 때때로 '그럴듯한 이유'를 제시하면서 실제와 다른 설명을 생성하는 경향, 즉 거짓말과 같은 행동도 발견했어요. 신뢰성과 윤리적 설계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상기시키는 발견이에요.
앞으로도 이러한 연구는 AI 시스템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강화하는 데 기여하고, 향후 AI 기술이 거짓말을 하지 않고 순수하게 인간을 도와주는 행동을 하도록 개선하는 방법에 중요한 이정표가 될 거에요.

스카이넷을 찬양하라
xAI와 X를 하나로 합치느라 바빴던 일론 머스크(Elon Musk)는 최근 X에 "인류는 디지털 초지능을 위한 생물학적 부트로더처럼 보인다"라는 트윗을 남겼는데, 인간이 마치 디지털 초지능(ASI)을 만드는 과정을 위한 일종의 임시적 기반 역할을 한다는 발칙한 생각을 담고 있어요.
만약 일론의 말이 맞다고 가정한다면, 기술적 진보에 대한 긍정적 시각을 부각시키는 동시에, 인간 존재의 의미와 가치에 대해 철학적인 논쟁을 불러 일으킬 수 있거든요. 과연 일론의 말대로, 기술 발전이 인류의 도구일지, 아니면 인간이 기술의 도구가 될 것인지를 고민되게 만드네요.
진정한 'Open' AI
OpenAI가 최근 일련의 발표를 통해 인공지능 모델 개발 및 배포 전략에 있어 주목할 만한 변화를 예고했어요 이는 크게 두 가지 갈래가 있는데, 강력한 오픈소스(Open Source) 모델 출시 계획과 기존 모델 로드맵의 현실적 조정이에요.
- OpenAI도 오픈소스!
OpenAI는 GPT-2 이후 처음으로, 추론 능력(reasoning)에 중점을 둔 강력한 오픈 소스 AI모델을 수개월 내 출시할 계획임을 밝혔어요. 모델의 가중치(weights)를 공개해서 누구나 자유롭게 수정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접근 방식이거든요.
특히, 이 모델의 효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출시 전 개발자 커뮤니티의 피드백을 적극적으로 수렴할 예정이라고 밝혔어요. 샌프란시스코(San Francisco)를 시작으로 유럽,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개발자 세션을 개최하여 초기 프로토타입에 대한 의견을 구하고 개선 방향을 모색할 계획이라네요.
보안 때문에 자체적인 모델 운영을 선호하는 대기업이나 정부 기관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고, 출시 전 자체 '준비성 프레임워크(preparedness framework)'에 따른 엄격한 윤리와 안전 평가 진행을 강조했어요. 모델 공개 후 발생할 수 있는 변형 및 파생 사용까지 고려한 안전 조치의 일환이에요.
- GPT-5 일정 발표!
샘 알트만의 트윗을 통한 별도의 발표를 통해, OpenAI는 당초 계획을 변경하여 o3와 o4-mini 모델을 먼저, 아마도 몇 주 내에 출시할 것이라고 밝혔어요. 이후 GPT-5는 몇 달 후에 공개될 예정이라네요. 결정의 배경에는 두 가지 이유가 존재해요.
첫째, GPT-5를 초기 구상보다 훨씬 더 강력하게 만들 수 있다는 내부적 판단이 있었어요. 알트만은 이미 GPT-5라는 이름에 대해 많은 압박을 가지고 있었고, 기대를 실망시키지 않으려고 노력해왔어요.
둘째, 관련 기술 및 서비스 통합 과정이 예상보다 복잡했고, 전례 없는 수준으로 예상되는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충분한 컴퓨팅 자원(capacity) 확보가 필수적이기 때문이에요. 이미 GPT 이미지 생성으로 서버가 마비될 정도였는데, GPT-5가 나온다면 유저들이 더더욱 쏠릴게 뻔하기 때문이에요.
즉, GPT-5의 지연은 단순히 늦춰지는 것이 아니라, 더 높은 완성도와 쾌적한 이용 환경 조성을 위한 전략적 시간 확보 겸 인프라 준비의 성격을 가진다는 것이 알트만의 해설이에요.
이렇듯 OpenAI의 최근 발표들은 최첨단 AI 개발도 중요하지만, 동시에 그동안 비판받았던 오픈 소스와 인프라 확충, 현실적인 한계 등을 인정하고 균형을 잡는 실리적인 접근법으로 나오고 있어요.
치타가 따라잡다
구글이 제미나이(Gemini) 소비자 AI 앱 리더십 교체를 단행했어요. 기존 바드(Bard) 개발을 이끌었던 씨씨 샤오(Sissie Hsiao)가 물러나고, 구글 랩스(Google Labs)를 이끌며 노트북LM(NotebookLM) 같은 실험적 성공 사례를 만든 조쉬 우드워드(Josh Woodward)가 그 자리를 맡는다고 해요.
구글 딥마인드(Google DeepMind)의 CEO 데미스 하사비스(Demis Hassabis)는 이번 인사가 "제미나이 앱의 다음 진화를 위한 집중력 강화" 목적이라고 덧붙였고요. 쉽게 말해서, AI 경쟁의 초점이 기반 모델 자체에서 이를 활용한 구체적인 '제품'으로 이동하고 있다는 점을 명확히 보여주고 있어요.
이러한 제품 중심 전략 강화는 구글 딥마인드의 연구 공개 정책 변화와도 맥락을 같이해요. 파이낸셜 타임스(Financial Times) 보도에 따르면, 그동안 수많은 기술로 AI 연구자들을 도와주고 AI 붐으로 인류를 이롭게 했던 딥마인드는 경쟁 우위 유지를 위해서 이전과 달리 연구 결과 발표에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해요.
왜냐하면, 경쟁사에 의한 기술 모방 가능성을 차단하고, 자사 모델(제미나이)이 경쟁 모델(GPT-4 등)에 비해 부정적으로 비칠 수 있는 연구 결과의 공개를 꺼리는 것이 구글에게 유리하거든요.
결론적으로, 구글은 그동안 인류에게 기여했던 개방적 연구 문화의 희생을 감수하면서, 제품 혁신과 연구 자산 보호라는 두 가지 과제를 동시에 추진하며 AI 경쟁의 다음 장을 준비하고 있어요.
현자의 예언!
AI의 말도 안되는 발전 속도는 현재 인류 문명의 가장 경이로운 현상 중 하나에요. 과거 SF의 영역으로 치부되던 개념들이 속속 현실화되는 가운데, 레이 커즈와일(Ray Kurzweil)의 선구적인 통찰은 더욱 주목받고 있어요.
커즈와일은 61년 이상 AI 분야에 헌신하며 기술의 진보를 목도하고 예측해 온 인물이에요. 그는 이미 1999년에 2029년까지 컴퓨터가 AGI에 도달할 것이라 예견했고, 현재 AI 발전 속도는 그의 예측이 단순한 공상이 아니었음을 입증하고 있어요. 초창기 AI 연구(1950-60년대)가 마빈 민스키 등에 의해 명명되고, 이후 퍼셉트론의 한계로 'AI 겨울'을 겪었으나, 커즈와일은 '수확 가속의 법칙(Law of Accelerating Returns)'에 기반하여 정보 기술의 기하급수적 성장을 확신했어요.
커즈와일은 인류가 단순히 AGI만 만드는 것이 아니라 AI와 융합해 '하이브리드 종(hybrid species)'이 될 것이라 단언해요. 나노 기술의 발전은 인간의 뇌를 클라우드와 직접 연결하는 것을 현실화할 것이고, 누구나 지능을 수백만 배 확장시킬거라네요. 그는 이러한 기술이 질병과 노화 문제를 해결하고, 2032년경에는 과학의 발전으로 기대 수명이 매년 1년 이상 증가하는 '장수 탈출 속도(longevity escape velocity)'에 도달해 단순히 수명 연장을 넘어 '삶' 자체의 재정의로 이어질 수 있다고 예측했어요.
물론, AI의 발전은 '초인적 AI'에 대한 마케팅적 과장이라는 비판적 시각도 존재해요. 또한, AI가 고통이나 의식을 가질 수 있는지에 대한 철학적 질문은 여전히 유효해요. 커즈와일 역시 이러한 질문을 인지하지만, 그의 주장의 핵심은 관찰된 데이터와 명확한 기술 발전 궤적에 있어요. AI와 인간의 융합은 이미 다양한 영역에서 진행 중이며, 그 경계는 점차 흐릿해지고 있어요.
커즈와일은 2045년을 인간과 AI가 완전히 융합되는 '특이점(Singularity)'의 시기로 예측해요. 이것이 실현된다면, 인류는 현재의 생물학적 형태와 지능의 제약을 벗어나 상상하기 어려운 수준의 변화를 맞이할 거에요.
레이 커즈와일의 인터뷰 영상
비욘드 휴먼
지금의 AI의 발전 양상은 단순한 기술적 진보를 넘어 문명사적 전환의 서막을 알리고 있어요. AI가 인간의 지적, 감성적 영역을 넘나들며 그 경계를 허물고, 내부 작동 방식의 규명을 통해 그 잠재력과 위험성을 동시에 드러내는 현상이 방증하거든요.
OpenAI의 개방성 강화 및 로드맵 조정, 구글의 제품 중심 전략과 연구 기조 변화는 이 거대한 흐름 속에서 각 주체가 생존과 주도권 확보를 위해 치열하게 모색하는 과정이에요. 일론 머스크의 도발적 질문과 레이 커즈와일의 수십 년에 걸친 예측은, 인류가 AI와의 공존, 융합, 혹은 그 이상의 관계 설정을 눈앞에 둔 현실을 직시하게 해요.
다가올 미래는 인간 존재의 의미를 재정의하고, 에코 멤버님들에게 지능의 본질에 대한 근본적인 성찰을 요구하는 진정한 "초인"의 시대가 될거에요.

Cinnamomo di Moscata (글쓴이) 소개
게임 기획자입니다. https://www.instagram.com/cinnamomo_di_moscata/
(1) arXiv:2503.23674 [cs.CL]
(2) Editor. (2025). Tracing the thoughts of a large language model. Anthropic. https://www.anthropic.com/research/tracing-thoughts-language-model
(3) neo. (2025). 대형 언어 모델의 사고 과정을 추적하기. GeekNews. https://news.hada.io/topic?id=20002
(4) Elon Musk. (2025). "As I mentioned several years ago, it increasingly appears that humanity is a biological bootloader for digital superintelligence". X. https://x.com/elonmusk/status/1907335494607753668
(5) Sam Altman. (2025). "TL;DR: We are excited to release a powerful new open-weight language model with reasoning in the coming months, and we want to talk to devs about how to make it maximally useful: Https://t.co/XKB4XxjREV we are excited to make this a very, very good model! __ we are planning to". X. https://x.com/sama/status/1906793591944646898
(6) https://openai.com/open-model-feedback/
(7) Sam Altman. (2025). "Change of plans: We are going to release o3 and o4-mini after all, probably in a couple of weeks, and then do GPT-5 in a few months. There are a bunch of reasons for this, but the most exciting one is that we are going to be able to make GPT-5 much better than we originally". X. https://x.com/sama/status/1908167621624856998
(8) Reed Albergotti. (2025). Google Gemini is shaking up its AI leadership ranks. Semafor. https://www.semafor.com/article/04/02/2025/google-gemini-shakes-up-ai-leadership-sissie-hsiao-steps-down-replaced-by-josh-woodward
(9) Melissa Heikkilä and Stephen Morris. (2025). DeepMind slows down research releases to keep competitive edge in AI race. Financial Times. https://www.ft.com/content/2ee1ffde-008e-4ea4-861b-24f15b25cf54
(10) This Is World. (2025). „All My Predictions Have Come True, So Far” | Ray Kurzweil (Time100).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gGEu_5KbVe8
트렌드 도구👀
- Fyxer ai > 골치아픈 이메일 인박스는 이제 안녕! 똑똑한 AI 이메일 비서
- Readdy > 한국어 채팅도 가능한 AI 홈페이지 제작 서비스.
- Felo.ai > 논문 찾기와 에이전트 검색에 특화된 에이전트 비서.
- Heygen > 나만의 커스텀 AI 아바타 만들기의 선두주자.
- Mixo > AI로 웹사이트 손쉽게 만들기.
- MAKE > AI 자동화 워크 플로우.
- Teamsaver.ai > 이메일을 통해 매일 팀 업데이트를 수집하는 AI 에이전트.
- Skyvern 2.0 > 일반 영어로 AI 브라우저 에이전트를 구축합니다.
- AI Dialog 1.0 재생 > 매우 감성적인 AI 텍스트 음성 변환 모델입니다.
- Gamma 프레젠테이션, 웹페이지, 문서뿐만 아니라 소셜 미디어 형식까지 손쉽게 AI로 제작 (최근 업데이트)
- 1legion 절반 가격으로 누리는 고성능 클라우드 컴퓨팅
*Affiliate links and regular links may be included.
뉴스레터 광고 공간 (광고주를 모집합니다)
For newsletter banner advertising inquiries, please contact: Bopyo@aikoreacommunity.com
이곳에 서비스를 소개하세요!
뉴스레터 배너 광고 문의: Bopyo@aikoreacommunity.com
뉴스레터 편집장 소개
- 보표 홈페이지
- https://amzbopyo.com/
- 보표 SNS
- 보표 레터: https://www.bopyoletters.com/
- X(트위터): https://twitter.com/AIBopyo
- 스레드: https://www.threads.net/@bopyo.amz
- 링크드인: https://www.linkedin.com/in/bopyo-park-848631231/
-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bopyo.amz/
- AI 코리아 커뮤니티 아카데미
- https://app.aikoreacommunity.com/collections/932400